타닥타닥…🔥 따끈하고 아늑한 벽난로, 티비에 새로 장만했어요. 넷플릭스만 있다면 집에서도 불멍 가능! 넷플릭스에 벽난로 또는 장작불이라고 검색하면 여러 가지 벽난로 영상이 나와요. 캐럴이 나오는 벽난로, 아늑한 산장 속 벽난로 등 재미있는 컨셉의 영상이 잔뜩 있죠. 하지만 진짜 재미는 따로! 넷플릭스의 영화와 드라마 콘셉트로 만들어, 마치 주인공이 되어 휴식하는 기분이 드는 벽난로 영상이요. 그중 최근 업데이트된 오징어 게임 벽난로와 브리저튼 벽난로가 화제인데, 오징어 게임 프론트맨의 비밀스러운 공간에서 불멍을 즐기거나, 브리저튼 벽난로에서는 우아한 귀족처럼 여유를 즐기며 불멍을 할 수 있답니다. 물론, 어린이 모험가를 위한 장작불 영상도 있어요. ( 𓏸˙ ᴗ˙𓏸) 컨셉 가득한 불멍 영상, 진심으로 즐겨봐요. 불멍과 함께 주인공이 되. 😎
* 탐방레터가 활용하는 뉴스레터 플랫폼(스티비)의 오류로, 다음 카카오 등 일부 메일계정에 탐방레터가 발송되지 않았습니다. 문제를 확인하자마자 조치하였으며,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더욱 힘쓰겠다는 발송 플랫폼으로부터 답변을 받았습니다. 혹, 2024년 마지막 메일을 받지 못한 탐방러가 있다면, 이곳에서 확인해보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탐방 드림 |
|
|
🚩 #290, 탐방과 하루 먼저 보내는 주말, 금요레터
1. 🤙 올해 목표: 탐방러와 함께하기
Q. 탐방러가 추천하는 ‘로컬 몰입 장소’ 🏠
2. 🌲 알고 보니 나도 실력자? |
|
|
🤙 올해 목표: 탐방러와 함께하기
#제주 #전주 #대구 #부산 |
|
|
새해가 밝으니 이것저것 목표가 한가득이에요. 새로운 다이어리도 사고, 깨끗한 마음에 떠오르는 다짐도 마구 적고 있죠. 올해의 가장 큰 목표! 디지털 디톡스를 시작할 거예요. 디지털과 조금만 멀어지고, 나를 생각하는 시간을 더 키우겠다고 다짐했죠. 이런 다짐들을 세울 때는 아늑하고 조용한 공간이 딱인데, 이런 공간 어디 없을까요? 다짐을 적지 않더라도, 조용히 한해를 시작하기 좋은 공간 말이에요. (*´∪`) 오늘은 한해를 시작하며, 몰입하기 좋은 공간을 소개할게요. 새롭게 시작하는 마음으로 시간을 보내봐요. 이너피스~🌿 |
|
|
(📍제주) | 종달리 구좌읍 늘보의작업실
🤫 쉿, 대화 금지, 하지만 내면의 대화는 오케이~👌 나만을 위한 자리, 제주도 종달리 구좌읍 늘보작업실에 준비되어 있어요. 자리마다 구비된 메뉴판에 늘보작업실 이용 방법과 규칙들이 세세하게 적혀있기 때문에, 대화는 필요 없죠. 요리 또는 디저트를 음료와 함께 주문하면, 이 자리는 나의 것. 벽면 가득 채운 CD 중에 원하는 앨범을 신중히 골라 들을 수 있어요. 내가 고르는 오직 나만을 위한 선곡이란 말씀. 나는 나를 사랑해…♡ ~ (๑ - ⩊ - ) 자리마다 그 자리를 지나간 사람들의 이야기가 적힌 방명록이 있어, 읽다 보면 시간이 훌쩍 가요. 알고 보면 파스타까지 완벽한 찐 맛집.
(📍전주) | 객사골방
내향인 여기 모여라! 전국에 펼쳐진 내향인 전문바, 전주의 객사골방이에요. 대화 금지, 하지만 신청곡은 대환영. 큰 스피커로 울려 퍼지는 각자의 신청곡들을 다같이 들을 수 있어요. 100% 예약제로 운영되는 객사골방은 자리마다 예약자들을 위한 포근한 리클라이너도 마련되어있죠. 리클라이너를 젖혀 살짝 누워 듣기도 가능. 분위기에 취한다…⭐ 음식은 주로 간단한 안주가 준비되어 있고, 술은 위스키부터 칵테일, 논알콜까지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어요. 우리 동네에 없다고 아쉬워 말아요. 골방은 전국구로 퍼져있어서, 알고 보면 나도 골(방)세권! 전국 골방의 위치는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
|
|
(📍대구) | 북카페 반월
커피만 마셨는데, 책도 빌려준대요. ( °ᗝ° ).ᐟ.ᐟ 대구의 북카페 반월에서는 오늘부터 나도 독서왕. 음료값만 내면 비치된 열람 가능한 책들을 무료로 읽을 수 있어요. 꽤 다양한 장르의 책이 준비되어 있답니다. 시간제한도, 별도 이용료도 없죠. 책 얘기를 나누고 싶다면, 북카페 반월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정기독서모임도 참여할 수 있어요. 최근 새로 오픈한 지하 1층의 북바, 2층과 3층의 북카페까지 온통 책으로 가득하죠. 특히 3층은 몰입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대화가 지양된 공간이라 다른 층에 비해 더 조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디지털 디톡스도 원한다면, 카운터에 보관도 가능해요.
(📍부산) | 열람실
홈 스윗 홈~🕺 집순이가 된 것 같은 느낌, 아늑한 나의 집이 부산에 있었어요. 전포 메인 거리를 지나 조용한 건물로 올라오면, 열람실에, 취향에 맞게 즐길 수 있는 1인실이 총 6개나 있어요. 모든 방에 푹신한 소파와 헤드셋이 동일하게 준비되어 있어요. 하지만 아무 방이나 갈 수는 없죠! 자세히 살펴보면 창밖의 경치도 제각각, 방 안의 분위기도 비슷한 듯 조금씩 달라요. 공유 거실과 각 방에 놓인 도서들을 자유롭게 살펴보아도 되고, 공유 일기장에 하루를 남겨도 좋아요. 시간이 금세 간다고요. 아앗 사장님, 저 그냥 여기서 살면 안 될까요? (ʃƪ ˘ ³˘)
|
|
|
한해를 마무리하며, 내 마음을 돌아보는 시간도 필요해요. 바쁜 일상에서도 스스로를 돌보고, 마음을 다스리는 공간을 찾아서 떠나고 싶을 때가 있죠. 나를 알면, 새해 목표들도 더 잘 해낼 수 있을 거예요. 탐방러님은 어디서 몰입의 시간을 보내고 있나요? 힘들 때 나만의 속도로 재충전했던 곳, 새로운 목표를 다짐하며 희망을 품었던 공간이 있나요? 내가 좋아하는 로컬 몰입 장소가 있다면 탐방에 공유해주세요!
|
|
|
✅ 지난 금요레터에서는 나누고 싶은 로컬 해돋이 명소를 소개했어요. 탐방러가 추천해 준 ‘로컬 해돋이 명소’ ☀️ 를 나눠요.
|
|
|
🌲 알고 보니 나도 실력자?
#공예 #우드카빙 #취미 |
|
|
디클루의 우드카빙 ⓒ클래스유 / 필드오즈 공방의 우드카빙 ⓒ클래스101 |
|
|
몰입이 너무 어렵다면, 새해를 맞아 새로운 취미 하나 시작해보는 건 어때요? 혼자 집중해서 하기 좋은 취미, 우드카빙을 추천해요. 우드카빙은 나무를 조각해 작품을 만드는 건데, 한 번 배우면 숟가락부터 트레이까지 내 손으로 만든 소품들이 집 안을 채울지도 몰라요. 주변에 공방이 없어도 걱정 마세요. 기초부터 차근차근 알려주고, 준비물도 배송 가능한 괜찮은 온라인 강의를 몇 가지 소개할게요. ( ´͈ ᗨ `͈ )◞♡
✔️ 디클루의 온라인 클래스 | 스푼부터 차근차근 시작해보는 우드카빙! 스푼은 주로 우드카빙을 시작할때 기초를 잡기 위해 많이 시작해요. 여러가지 크기와 형태의 스푼을 포함한 총 8개의 작품을 만들어 볼 수 있어요. 기본 구성 공구들과 나무 재료는 클래스를 신청하면 세트로 구매가능하죠.
✔️ 필드오즈 공방의 온라인 클래스 | 스푼 보다는 조금 난이도 있는 작업들이지만 초보자도 충분히 시작할 수 있는 구성이에요. 필요한 도구도 한 번에 구매 할 수 있답니다. 잼 나이프, 포크, 접시, 트레이까지 총 4개의 작품을 차근차근 만들어요.
✔️ 경기도평생학습포털* 온라인 클래스 | 파격적인 조건, ( °ᗝ° ).ᐟ.ᐟ 무료 수강 가능한 클래스예요. 공구와 재료는 함께 구성되어 있지 않지만, 어떤 도구를 구매해야 하는지 상세하게 알려주기 때문에 쉽게 구매 가능해요. 기초인 나무숟가락부터 입체 조각까지 넓은 범위로 배울 수 있어요.
*경기도평생학습포털 지식(GSEEK)은 도민의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을 위해 경기도와 31개 시/군이 함께 운영하는 포털서비스예요. 다양한 강좌들을 무료로 수강할 수 있어요.
아직도 어렵게 느껴진다고요? 처음에는 낯설어도, 우드카빙은 한 번 배우면 평생 써먹을 수 있는 공예 기술이에요. 혹시 몰라요, 내 적성 여기서 발견할지도. ( • ᴗ - ) ✧
|
|
|
🎁 탐방 금요레터에서만 드리는 선물
탐방은 부지런히 발자국을 더해 가고 있어요. 지금까지 탐방이 직접 가보고 소개한 전국의 탐방지는 682곳! 👉알고 나면 매일이 여행👈인 탐방과 함께 떠나볼까요? |
|
|
💌 from 탐방러
지난 탐방 금요레터가 받은 답장이에요.
|
|
|
탐방러님의 답장을 기다려요!
오늘 준비한 내용은 어떠셨나요? 탐방에게 추천하는 탐방러 혹은 탐방지를 비롯해 좋았거나 아쉬웠던 점을 편하게 남겨주세요. 꼼꼼히 살펴서 매주 더 알찬 탐방레터로 찾아올게요.
|
|
|
홈페이지 | 인스타그램탐방 레터가 스팸으로 분류되지 않도록, hello@tambang.kr 을 주소록에 추가해 주세요.
|
|
|
|
|